티스토리 뷰
반응형
    
    
    
 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60058?language=java
코딩테스트 연습 - 괄호 변환
카카오에 신입 개발자로 입사한 "콘"은 선배 개발자로부터 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다른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수정하라는 업무 과제를 받았습니다. 소스를
programmers.co.kr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    public String solution(String p) {
        Parenthesis parenthesis = new Parenthesis();
        return parenthesis.getValue(p);
    }
    public static class Parenthesis {
        public Parenthesis() {
        }
        public String getValue(String sub) {
            String u, v;
            String answer;
            if (sub.equals(""))
                //1. 입력이 빈 문자열인 경우,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. 
                return "";
            //2. 문자열 w를 두 "균형잡힌 괄호 문자열" u, v로 분리합니다. 단, u는 "균형잡힌 괄호 문자열"로 더 이상 분리할 수 없어야 하며, v는 빈 문자열이 될 수 있습니다. 
            int dot = divideBalancingParenthesis(sub);
            u = sub.substring(0,dot);
            v = sub.substring(dot);
            if (isRightParenthesis(u)){
                //3. 문자열 u가 "올바른 괄호 문자열" 이라면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다시 수행합니다. 
                //3-1.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u에 이어 붙인 후 반환합니다. 
                answer = u + getValue(v);
            }else{
                answer = makeExceptionCaseParenthesis(u,v);
            }
            //  4-5. 생성된 문자열을 반환합니다.
            return answer;
        }
        private String makeExceptionCaseParenthesis(String u, String v) {
            //  4-1. 빈 문자열에 첫 번째 문자로 '('를 붙입니다. 
            //  4-2.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재귀적으로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이어 붙입니다. 
            //  4-3. ')'를 다시 붙입니다. 
            return '(' + getValue(v) + ')' + reverse(u);
        }
        private  String reverse(String u) {
            //  4-4. u의 첫 번째와 마지막 문자를 제거하고, 나머지 문자열의 괄호 방향을 뒤집어서 뒤에 붙입니다. 
            char[] uArr = u.toCharArray();
            StringBuilder ans = new StringBuilder();
            for (int i=1; i<uArr.length-1;i++) {
                ans.append(uArr[i] == ')' ? '(' : ')');
            }
            return ans.toString();
        }
        
        private  boolean isRightParenthesis(String p) {
            char[] pArr = p.toCharArray();
            Deque<Character> stack = new ArrayDeque<>();
            for(char c: pArr) {
                if (c == '(') {
                    stack.add(c);
                }else {
                    if (stack.isEmpty()) {
                        return false;
                    }else{
                        stack.pop();
    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    return stack.isEmpty();
        }
        private static int divideBalancingParenthesis(String p) {
            int open = 0;
            int close = 0;
            for (char c : p.toCharArray()) {
                if (c == '(') {
                    open++;
                } else {
                    close++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if (open == close) {
                    break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    return open + close;
        }
    }
}Parenthesis
괄호에 관하여 처리하는 클래스
getValue
값을 반환해주는 메소드
1. 입력이 빈 문자열인 경우,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.
2. 문자열 w를 두 "균형잡힌 괄호 문자열" u, v로 분리합니다. 단, u는 "균형잡힌 괄호 문자열"로 더 이상 분리할 수 없어야 하며, v는 빈 문자열이 될 수 있습니다.
3. 문자열 u가 "올바른 괄호 문자열" 이라면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다시 수행합니다.
3-1.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u에 이어 붙인 후 반환합니다.
4-5. 생성된 문자열을 반환합니다.
makeExceptionCaseParenthesis
// 4-1. 빈 문자열에 첫 번째 문자로 '('를 붙입니다.
// 4-2.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재귀적으로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이어 붙입니다.
// 4-3. ')'를 다시 붙입니다.
reverse
4-4. u의 첫 번째와 마지막 문자를 제거하고, 나머지 문자열의 괄호 방향을 뒤집어서 뒤에 붙입니다.
isRightParenthesis
올바른 괄호 문자열인지 확인하는 메소드
기본적으로 '('일 때에는 스택에 쌓아놓고 ')'을 만났을 때 pop을 하는데 이 때 문제가 있다면 false
무리 없이 다 뺐지만 stack에 남아 있다면 false 그렇지 않다면 true
divideBalancingParenthesis
균형문자열을 분리하는 메소드
반환 값으로는 그에 대한 기준점을 반환한다.
반응형
    
    
    
  반응형
    
    
    
  
                      공지사항
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최근에 올라온 글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최근에 달린 댓글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- Total
- Today
- Yesterday
                    링크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TAG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- Python
- Pattern
- 그래프
- 2021 KAKAO BLIND RECRUITMENT
- 파이썬
- ubuntu
- dockerignore
- Collections
- 프로그래머스
- BFS
- headers
- env
- DRF
- 자바
- 면접
- docker
- Command Line
- docker-compose
- 알고리즘
- django
- postgres
- 백준
- PostgreSQL
- Linux
- thread
- Spring
- 카카오
- Celery
- setattr
- Java
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 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 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
| 30 | 
                    글 보관함